728x90
"잔과 쟁반이 어지럽게 흩어져 있다"는 뜻으로,
술을 마시고 흥겹게 노는 모양.
또는 술자리가 끝날 무렵이나 끝난 후 술잔과 접시가 어지럽게 흩어져 있는 모양을 말함.
<출전> 사기(史記) 골계열전(滑稽列傳)

전국시대 초 제(齊)나라 위왕(威王) 때 초(楚)나라가 군사를 이끌고 쳐들어 왔다. 위왕은 변설에 능한 순우곤을 조(趙)나라에 보내어 원군을 청했다. 조나라 왕은 쾌히 군사 10만 명을 보내주었다. 이 소식을 들은 초나라 군사는 밤에 군사를 이끌고 철수해 버렸다.
위왕은 크게 기뻐하며 주연을 베풀고 순우곤에게 술을 권하며 물었다.
" 그대는 얼마나 마셔야 취하는가?"
" 한 되를 마셔도 취하고 한 말을 마셔도 취합니다."
" 한 되를 마셔도 취하는 사람이 어떻게 한 말을 마실 수 있단 말인가 ?"
위왕이 다시 묻자 순우곤이 대답했다.
" 주량이 때에 따라 달라진다는 뜻입니다. 대왕이 계신 앞에서 마신다면 법을 집행하는 관리가 곁에 서 있고 어사가 뒤에 있어, 두려워서 한 되도 못마시고 취할 것입니다. 부모님에게 귀한 손님이 있을 때 그분들을 모시고 마신다면, 자주 일어서서 술잔을 올려야 하니 두 되도 못 마시고 취할 것 입니다. 하지만 같은 고향 마을에서 남녀가 한데 어울려 쌍륙(雙六)과 투호(投壺)를 하면서 마신다면, 여덟 되쯤 마셔도 약간 취기가 돌 뿐일 것입니다.
그러다가 해가 지고 나서 취흥이 일면 남녀가 무릎을 맞대고 신발이 뒤섞이며 '술잔과 접시가 어지럽게 흩어지고(杯盤狼藉)' 집 안에 불이 꺼집니다. 안주인이 손님들을 돌려 보낸 뒤 얇은 속적삼의 옷깃을 헤칠 때 은은한 향기가 감돈다면, 그때는 제 마음이 즐거워져 한 말이라도 마실 수 있습니다.'술이 극에 달하면 어지러워지고 즐거움이 극에 달하면 슬픈 일이 생긴다.'고 하는데, 만사가 다 이와 같습니다."
이는 모든 것이 극에 달하면 필히 쇠하게 된다는 뜻으로 한 말이다.
그 후 위왕은 밤새워 술 마시는 것을 그만두고, 주연이 열릴 때는 반드시 순우곤을 옆에 앉혀 놓고 술을 마셨다고 한다.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년하청 [百年河淸] (0) | 2021.08.02 |
---|---|
배수지진 [背水之陳] (0) | 2021.08.01 |
방약무인 [傍若無人] (0) | 2021.07.30 |
반식재상 [伴食宰相] (0) | 2021.07.29 |
반근착절 [盤根錯節] (0) | 2021.07.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