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변방 늙은이의 말"이라는 뜻으로,
인생의 길흉화복이 무상하여 예측할 수 없다는 비유로 쓰인다.
<유사어> 전화위복 (轉禍爲福)
<출전> 회남자(淮南子) 인간훈(人間訓)

옛날 중국 북쪽 변방에 점을 잘 치는 한 노인이 살았다.
어느 날, 이 노인의 말이 오랑캐 땅으로 달아났다. 이웃 사람들이 위로하자, 노인은 아무렇지도 않게 말했다.
" 이 일이 혹 복이 될지 누가 알겠소 ?"
몇 달이 지난 어느 날, 달아났던 그 말이 오랑캐의 준마 한 필을 데리고 돌아 왔다. 마을 사람들이 와서 축하의 말을 했으나, 노인은 조금도 기뻐하는 기색을 보이지 않았다.
" 이 일이 혹 화가 될지 누가 알겠소 ?"
얼마 뒤에 노인의 아들이 오랑캐 땅에서 온 말을 타다 다리가 부러졌다. 다시 마을 사람들이 위로하자, 노인은 슬퍼하는 기색도 없이 여전히 아무렇지도 않게 말했다.
" 이 일이 혹 복이 될지 누가 알곗소 ?"
그로부터 1년 후, 오랑캐가 쳐들어오자 젊은이들은 모두 전쟁터에 나가 대부분 전사했다. 그러나 노인의 아들은 절음 발이었기 때문에 목숨을 보존할 수 있었다.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제막급 [筮臍莫及] (0) | 2021.08.17 |
---|---|
서시빈목 [西施嚬目] (0) | 2021.08.16 |
상가지구 [喪家之 狗] (0) | 2021.08.14 |
삼인성호 [三人成虎] (0) | 2021.08.13 |
삼고초려 [三顧草廬] (0) | 2021.08.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