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 연못의 물을 모두 퍼내 고기를 잡는다"라는 뜻으로, 눈앞의 이익만을 추구하여 먼 장래를 생각하지 않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출전> 여불위(呂不韋) 여씨춘추 (呂氏春秋)

춘추시대 진(晉) 나라 문공(文公)은 성복(城僕)이라는 땅에서 초(楚) 나라와 큰 전쟁을 벌이게 되었다. 그러나 초나라의 병력이 진나라 진영보다 훨씬 많을 뿐만 아니라, 무력 또한 막강하였으므로 도저히 이길 방법이 없었다.
그런 가운데 방법이 없을까 궁리하다 장수 호언(狐偃)에게 물었다.
" 초나라의 병력은 많고 우리 병력은 적으니 이 싸움에서 승리할 방법이 없겠소 ? "
그러자 호언은 이렇게 대답했다. " 저는 예절을 중시하는 자는 번거러움을 두려워하지 않고, 싸움에 능한 자는 속임수를 쓰는 것을 싫어하지 않는다고 들었습니다. 속임수를 써 보십시오"
그리고 문공은 다시 군사(軍師) 이옹(李雍)의 생각을 물엇다. 이옹은 호언의 속임수 전략에 동의하지 않았다. 그렇다고 해서 별 뾰족한 방법도 없었으므로 다만 이렇게 말했다.
" 못 안의 물을 모두 퍼내어 물고기를 잡는다면 그야 잡지 못할리 없지만, 그 훗날에는 잡을 물고기가 없게 될 것이고, 산에 있는 나무를 모두 불태워서 짐승들을 잡으면 잡지 못할 리 없겠지만, 뒷날에는 잡을 짐승이 없을 것입니다 ( 竭澤以魚 而明年無魚 焚藪而田 豈不獲得 而明年無獸 ). 지금 속임수를 써서 위기를 모면한다 해도 근본적인 해결책이 아닌 이상 임시방편의 방법일 뿐입니다 "
이옹의 비유는 눈앞의 이익만을 위하는 것은 화를 초래한다고 본 것이다.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사] 감정선갈 [甘井先竭 ] (0) | 2021.11.27 |
---|---|
[역사] 감당유애 [甘棠遺愛 ] (0) | 2021.11.26 |
[역사] 갈불음도천수 [ 渴不飮盜泉水 ] (0) | 2021.11.24 |
[역사] 간장막야 [ 干將莫耶 ] (0) | 2021.11.23 |
[역사] 간어제초 [ 間於齊楚 ] (0) | 2021.11.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