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재원(財源)을 늘리고 지출을 줄인다"는 뜻으로 , 부를 이루기 위하여 지켜야 할 원칙을 비유한 말이다.
<출전> 순자(筍子) 부국(富國) 편

순황(筍況)이 지은 <순자> 부국편 가운데 국가의 강약과 빈부에 대해 설명한 글에서 유래하였다.
만약 국가가 부강해지고자 한다면, 조정은 백성들을 사랑해야 하며, 백성들로 하여금 편안하게 생업에 종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했다.
순황은 경제를 물에 비유하여 생산과 수입은 원천(源)으로, 비용과 지출은 흐름(流)으로 파악하였다. 그는 부국의 요체는 바로 원천을 늘리고(開源) 흐름을 줄이는(節流) 것으로 보았다.
" 온 백성이 천시(天時)의 화기(和氣)를 얻고, 사업도 순서에 맞게 진행한다면 이는 재화의 원천이다. 세금을 거두어 저축한 것은 아무리 많다 하더라도 다 써버릴 수 있는 것이므로 이는 재화의 흐름이다. 그러므로 현명한 군주는 반드시 신중하게 그 화기를 길러 흐름을 절제하는 한편 재화의 원천을 개발해야 한다 ( 故明主必謹養其和 節其流 開其源 ) "
이렇게 함으로써 백성들은 적극적으로 생산에 임하며, 그 축적된 것이 증가함에 따라 나라의 창고가 충실해지면 나라는 곧 부강하게 된다고 하였다. 그러나 반대로 조정에서 생산을 돌보지 않고 무거운 세금만 부과하며 물자를 아끼지 않는다면 백성들은 빈곤에 처해 생활이 어려워질 것이고, 이에 따라 나라는 가난하게 될 것이라고 했다.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사] 개천벽지 [ 開天闢地 ] (0) | 2021.12.11 |
---|---|
[역사] 개원지치 [ 開元之治 ] (0) | 2021.12.10 |
[역사] 개문읍도 [開門揖盜] (0) | 2021.12.08 |
[역사] 개권유익 [開券有益] (0) | 2021.12.07 |
[역사] 개관사정 [蓋棺事定] (0) | 2021.12.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