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 하나로 꿰뚫는다"는 뜻으로, 한 가지 이치로 만 가지 일을 꿰뚫는 것을 말함.
<출전> 논어(論語) 이인편(里仁)편, 위령공(衛靈公) 편

<논어> 이인(里仁) 편애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나온다.
어느 날, 공자가 제자 증삼(曾參)에게 말했다.
" 삼아, 나의 도는 하나로 꿰어져 있느니라."
증삼이 재빨리 대답했다.
"네, 알고 있습니다."
마치 선문답(禪問答) 같은 말을 주고받는 것이었다. 공자가 밖으로 나간 후, 다른 제자들이 증삼에게 물었다.
"선생님께서 무슨 말씀을 하신 건가 ?"
" 선생님의 도는 충(忠)과 서(恕) 일뿐일세."
충(忠)은 성실, 서(恕)는 자애나 배려쯤으로 풀이할 수 있다. 충과 서는 결국 '인(仁)에 도달하는 삶의 방식이라는 것이다.
<논어> 위령 편에도 이런 말이 나온다.
공자가 제자 자공(子貢)에게 물었다.
" 너는 내가 많이 배워서 그것을 모두 기억하는 박학다식한 사람이라고 생각하느냐 ?"
자공이 대답했다.
" 네, 그렇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아닙니까 ?"
" 그렇지 않다. 나는 하나의 이치로 모든 사물을 꿰뚫고 있는 것이다.(子一以貫之)"
공자는 산만한 지식을 많이 갖춘 것보다 판단력을 갖추어 흔들림 없이 관철하는 것을 더 높이 평가한 것 같다.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패도지 [一敗塗地] (0) | 2021.10.02 |
---|---|
[역사] 일자천금 [一字千金] - 고사성어 (0) | 2021.10.01 |
일엽지추 [一葉知秋] (0) | 2021.09.29 |
일모도원 [日暮途遠] (0) | 2021.09.28 |
일망타진 [一網打盡] (0) | 2021.09.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