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다기망양 [多岐亡羊]
"달아난 양을 찾다가 갈림길이 많아 결국 잃고 말았다"는 뜻으로,
학문의 길이 여러 갈래라서 진리를 찾기 어려울 때, 또는 방침이 너무 많아 갈 바를 모를 때 쓰임.
<출전> 열자(列子) 설부(說府)편

양자(揚子)는 전국시대 사상가로 극도의 개인주의를 주장했다.
어느 날, 양자의 이웃집 양 한 마리가 없어졌다. 그 집 식구들은 물론 양자네 하인들까지 총동원되어 잃어버린 양을 찾아 나섰다.
양자가 물었다.
"양 한 마리 찾는데 쫓는 사람이 어찌 그리 많은가?"
양자의 하인이 대답했다.
"양이 달아난 쪽에 갈림길이 많습니다."
얼마 후 양을 뒤쫓아갔던 하인들이 모두 지쳐서 돌아왔다.
"양을 찾았느냐?"
"못 찾았습니다."
"왜 못 찾았느냐?"
"갈림길 가운데 또 갈림길이 있어서 양이 어느 길로 달아났는지 통 알 수가 없었습니다."
그 말에 양자는 갑자기 우울한 표정을 지었다. 그리고 하루 종일 말도 하지 않고 웃지도 않았다. 제자들은 영문을 알 수가 없었다.
"선생님 양도 아니고, 그것도 겨우 한 마리 잃은 것을 가지고 왜 그렇게 우울하실까?"
다음날이 되어서야 제자들은 양자의 다음과 같은 생각을 비로소 깨달을 수 있었다.
'큰길에는 갈림길이 많기 때문에 양을 잃었고, 학문하는 사람은 방법이 많기 때문에 그 본성을 잃는다.'
학문의 근본은 원래 하나인데 그 끝은 여러 가지로 달라진다. 그러므로 근본으로 돌아가면 얻는 것도 잃은 것도 없다는 것이 양자의 생각이었다.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랑거철 [螳螂拒轍] (0) | 2021.07.01 |
---|---|
다다익선 [多多益善] (0) | 2021.06.30 |
누란지위 [累卵之危] (0) | 2021.06.28 |
낭중지추 (囊中之錐) (0) | 2021.06.27 |
남곽남취 (南郭濫吹) (0) | 2021.06.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