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 도끼를 갈아서 바늘을 만든다"는 뜻으로,
아무리 이루기 힘든 일이라도 참고 계속하면 언젠가는 성공할 수 있음을 비유한 말.
유사어 : 우공이산(愚公移山) 수적천석(水滴穿石)
< 출전 > 당서(唐書) 문예전(文藝傳)

시선(詩仙)이라 불렸던 당(唐) 나라 시인 이백(李白)은 뛰어난 시를 많이 남겼는데, 그의 시는 중국 시문학의 모든 장점들이 모여 있다는 평을 듣는다.
어렸을 때 이백은 아버지의 임지(任地)인 촉(蜀) 땅의 성도(成都)에서 살았다. 그때 그는 상의산(象宜山)이라는 곳에 들어가 공부를 했는데, 어느 날 공부에 실증이 나 무작정 산을 내려왔다. 그런데 도중의 계곡에 이르렀을 때 머리가 하얀 노파가 바위에 도끼를 열심히 문지르고 있었다.
이백은 그 노파에게 다가가 물었다.
"할머니, 지금 뭘 하고 계세요?"
"바늘을 만들려고 도끼를 갈고 있지 (磨斧作針)."
노파는 고개도 들지 않고 계속 손을 움직이며 말했다.
이백은 그 황당한 말에 눈이 휘둥그레졌다.
"그렇게 큰 도끼를 갈아서 바늘을 만든다고요?"
"물론이지. 열심히만 하면, 그리고 중도에 그만두지만 않는다면 만들 수 있어."
그 노파의 말에 크게 느낀 바가 있었던 이백은 생각을 바꾸어 다시 산으로 올라 같다.
그 후 이백은 뜻을 굳게 세우고 열심히 공부했다. 간혹 마음이 해이해지면 그 노파를 생각하며 분발하여, 마침내 중국 문학사상 가장 훌륭한 시인이 되었다.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사휴의 (萬事休矣) (0) | 2021.07.14 |
---|---|
마이동풍 [馬耳東風 ] (0) | 2021.07.13 |
득어망전 (得魚忘筌) (0) | 2021.07.11 |
득롱망촉 (得隴望蜀) (0) | 2021.07.10 |
동호지필 [董狐之筆] (0) | 2021.07.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