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66

[ 괴여만리장성 - 壞汝萬里長城 ] (무너질 괴 / 너 여 / 일만 만 / 마을 리 / 길 장 / 성 성 ) '너의 만리장성을 무너뜨리는가?'라는 뜻으로, 어리석은 생각으로 자신의 방패막이가 되는 사람을 제거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송서(宋書) 단도제전(檀道濟傳) 남북조시대, 남조의 송나라와 북조의 북위(北魏)가 서로 대치하고 있을 때, 위나라는 어떻게든 틈을 보아 송나라를 공격하려고 호시탐탐 송나라 진영을 엿보고 있었다. 그러나 단도제가 대장이 되어 방위를 굳건히 하고 있었기 때문에 감히 침략할 엄두를 내지 못했다. 그런데 송나라 조정에서는 이렇게 위세가 대단한 단도제를 시기해서 그를 제거하려는 무리들이 있었다. 그들은 자신들이 정권을 잡고 권력을 마음대로 휘두르기 위해 단도제를 제거할 여러 가지 방안을 강구하였다. 그.. 2022. 2. 24.
괄목상대 [刮目相對] - 고사성어 ( 비빌 괄 / 눈 목 / 서로 상 / 대할 대 ) " 눈을 비비고 다시 본다"는 뜻으로, 다른 사람의 학식이나 재주가 몰라볼 정도로 나아졌음을 가리키는 말이다. 일취월장(日就月將), 괄목상간(刮目相看) 삼국지(三國志) 오지(吳志) 여몽전(呂蒙傳) 삼국시대 오(吳) 나라 손권(孫權)의 부하 장수 가운데 여몽(呂蒙)이라는 이가 있었다. 그는 박식하고 다재다능한 사람으로 주유(周瑜)가 죽은 후 그 뒤를 이어 도독이 되었고, 부장 반장(潘璋)을 시켜 촉나라의 관우를 죽인 인물이기도 하다. 그는 어려서부터 가난하고 의지할 데 없어서 오로지 무술 공부에만 힘을 쏟았을 뿐 글공부는 한 적이 없어 학식은 거의 없었다. 그는 손권(孫權)의 부하로 있으면서 오직 전투에만 충실하였다. 그러던 어느 날 손권이.. 2022. 2. 23.
[ 관포지교 - 管鮑之交] ( 대롱 관 / 절인어물 포 / 갈 지 / 사귈 교 ) " 관중과 포숙이의 사귐"이란 뜻으로, 자신을 알아주는 친구 사이의 두터운 우정을 말한다. 문경지교(刎頸之交), 금란지교(金蘭之交) 사기(史記) 관안열전(管晏列傳) 춘추시대 제(齊) 나라에 관중(管仲)과 포숙아(鮑叔牙)가 살았다. 두 사람은 죽마고우(竹馬故友)로 나이가 들어서도 그 우정에는 변함이 없었다. 언젠가 둘이서 장사를 한 적이 있었다. 포숙아는 자본을 대고, 관중은 경영을 담당했다. 포숙아는 모든 것을 관중에게 일임하고 일체 간섭하는 일이 없었다. 기말 결산에 이익 배당을 할 때면 관중은 언제나 훨씬 많은 액수를 자기 몫으로 차지하곤 했다. 포숙아는 많다 적다 한 마디 말하는 법이 없었다. 그 당시의 관례로는 자본주가 더 많이.. 2022. 2. 22.
[역사] 관중규표 [管中窺豹] - 고사성어 ( 대롱 관 / 가운데 중 / 엿볼 규 / 표범 표 ) "대나무 대롱을 통해서 표범을 본다"라는 말이다. 관규추지 (管窺錐指), 관규려측 (管窺蠡測), 관견 (管見) 장자(莊子) 추수(秋水) 편 진(晋) 왕조 때의 유명한 서예가 왕희지(王羲之)의 아들 왕헌지(王獻之)가 아홉 살 나던 해의 일이었다. 어느 날 왕희지의 제자들이 모여 앉아 지금의 카드놀이와 비슷한 유희를 즐기고 있었다. 왕헌지는 그 유희에 대해서 잘 모르면서도 곁에서 제법 훈수를 두는 것이었다. 이에 왕희지의 제자들은 '도련님은 대나무 통으로 표범을 보는 식으로 표범의 전신은 보지 못하고 표범 신상의 수많은 반점 중의 하나의 반점만 본다. ( 此郞亦管中窺豹 時見一斑 ) 고 하면서 나무랐다고 한다. 여기서 성구 "관중규표(管中窺.. 2022. 2. 22.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