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사성어

[역사] 각주구검 [ 刻舟求劍 ]

by 청호반 2021. 11. 19.
728x90

"배에 표시해서 칼을 찾는다'는 뜻으로, 사리판단을 못해 어리석은 행동을 하거나 시세 변동 같은 것은 전연 모르는 고집불통인 처사를 비유해서 하는 말이다. 

<유사어> 수주대토 ( 守株待兎 )

<출전> <여씨춘추(呂氏春秋)  찰금(察今) 편

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한 젊은이가 배를 타고 양자강을 건너게 되었는데, 배가 강 한복판에 이르렀을 때, 그는 옆 사람과 이야기를 하는데 정신이 팔려 그만 손에 들고 있던 칼을 물에 빠뜨리고 말았다.

그러자 그는 얼른 허리춤에서 단도를 꺼내어 칼을 빠뜨린 뱃전의 그 자리에 표시를 했다. "내가 칼을 빠뜨린 곳은 바로 여기다." 하고 영리한 체하며 주위 사람을 둘러보았다.

 

 이윽고 배가 강기슭에 다다르자, 그는 아까 표시를 해 놓은 그 자리에서 물로 뛰어들었다. 그는 그 자리에 칼이 있을 거라고 믿었던 것이다. 배는 이미 그 동안에 칼을 빠뜨린 곳으로부터 멀어져 갔는데도 그걸 미처 깨닫지 못하고 그런 식으로 칼을 찾겠다니 얼마나 한심스러운 이야기인가.

 

 또 <한비자>에 "수주대토(守株待兎)라는 비슷한 이야기가 있다. 송나라 사람이 어느 때 부지런히 밭을 갈고 있었다. 밭 옆에 큰 나무가 있었다.

  그런데 그곳에서 갑자기 뛰어나오던 토끼가 그 그루터기에 부딪쳐 목뼈가 부러져 죽었다. 덕택으로 농부는 힘 안 들이고 저녁 반찬을 얻었다. 그 후 사나이는 농사일을 집어치우고 날마다 밭두둑에 앉아 '그루터기를 지키며 토끼가 오기를  기다렸다(守株待兎).'

 

그러나 토끼는 두 번 다시 그 곳에 나타나지 않았다. 농부는 남들의 웃음거리가 되었다. 물론 밭은 잡초만 무성하게 자라 농사를 망쳐 버렸다. 이는 곧 낡은 관습만을 고집하여 지키고, 새로운 시대에 순응하지 못하는 것을 가리킨 말이다.

 한비자(韓非子)는 요순(堯舜)을 이상으로 하는 왕도정치는 시대에 뒤떨어진 생각이라고 주장하며 이 비유를 들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