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사성어321

[ 군자표변 - 君子豹變 ] ( 임금 군 / 아들 자 / 표범 표 / 변할 변 ) " 군자는 표범처럼 변한다"는 뜻으로, 군자는 가을에 표범이 털갈이를 하는 것처럼 허물을 고치고 바른 길로 나아간다는 의미이다. "주역(周易) 혁괘(革卦)"의 구오(九五)와 상륙(上六) 구오(九五) : 대인은 표범처럼 변한다. 점을 치지 않아도 바름이 있다. (九五 大人豹變 未占有爭 ) "임금에게는 천하를 혁신해서 큰 사업을 성취하는 기상이 있기 때문에 표범이 가을날에 털갈이를 해서 가죽의 아름다움을 더하는 것에 비유할 수 있다. 따라서 굳이 점을 쳐서 길흉을 알아보지 않더라도 사람들로부터 올바르다는 평을 얻는 것이다." 상륙(上六) : 군자는 표범과 같이 변하고 소인은 얼굴을 바꾼다. 나아가면 흉하고 머물러 있으면 곧고 길 하다. ( .. 2022. 3. 25.
[ 군자삼외 - 君子三畏 ] ( 임금 군 / 아들 자 / 석 삼 / 두려워할 외 ) "군자가 경계해야 할 세 가지 일"을 말함. 논어(論語) 계씨(季氏) 편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군자에게는 세 가지 두려워하는 일이 있다. 천명(天命)을 두려워하고, 대인(大人)을 두려워하며, 성인(成人)이 말씀을 두려워한다. 그러나 소인배는 천명을 알지 못하여 두려워할 줄 모른다. 때문에 대인에게 함부로 대하며, 성인의 말씀도 업신여긴다." ( 孔子曰 君子有三畏 畏天命 畏大人 畏聖人之言 小人 不知天命而不畏也 狎大人侮聖人之言 ) 공자는 이 말을 하면서 아울러 소인(小人)의 얄팍한 잔꾀에 대해서도 언급하였다. 그들은 자신의 하찮은 재주만 믿고서 천명을 무시하고 대인과 성인의 말씀도 업신여긴다. 군자와 소인의 차이는 종이 한 장 차이임을 .. 2022. 3. 19.
[ 구즉득지 사즉실지 - 求則得之 舍則失之 ] ( 구할 구 / 곧 즉 / 얻을 득 / 갈 지 / 버릴 사 / 잃을 실 ) "구하면 얻을 것이고 버리면 잃게 된다"는 뜻으로 자신의 분수에 맞게 구할 수 있을 것이면 구하되, 구할 수 없는 것이면 구하지 말라는 말이다. 맹자(孟子) 진심상(盡心上)편 진실로 나에게 가치가 있고 반드시 필요한 것은 모두 내 안에 있다. 그러므로 이것은 구하려고 마음만 먹은다면 곧 얻을 수 있는 것인데, 이런 소중한 것은 등한시하고 있어서 반드시 이로운 것도 아닌 것에 눈이 멀어 진정한 재산을 잃고 마는 경우가 허다하다. 돈에 눈이 멀어 건강을 잃는다든지 이익 때문에 친구를 잃는 따위가 그런 것이다. 맹자(孟子)가 말했다. "(어떤 것이든) 구하면 얻고 버리면 잃게 되니, 이 구하는 것은 얻음에 유익한 것이 있.. 2022. 3. 10.
[ 구이지학 - 口耳之學 ] ( 입 구 / 귀 이 / 갈 지 / 배울 학 ) "귀로 들은 즉시 입으로 내뱉어 버리는 배움." 이란 뜻으로, 귀로 들은 것을 깊이 새겨 보지 않고 그대로 입으로 남에게 전하기만 할 뿐, 조금도 자기 것으로 만들지 못한 학문을 비유하는 말이다. 순자(荀子) 권학(勸學)편 " 권학(勸學)"편에서 다음과 같은 말이 나온다. '구이지학은 소인배들의 학문이다. 귀로 들은 것이 입으로 나오는데, 입과 귀사이의 거리는 고작 네 치일 뿐이다. 어찌 일곱 자의 몸도 아름답게 꾸미지 못하는가. ( 口耳之學 小人之學也 ... ) 군자의 학문은 귀로 들으면 그대로 마음에 삭이고, 신체에 정착하여 인격을 높이고, 그것이 행동으로 나타난다. 그러한 과정을 거쳤기 때문에 사소한 말이나 동작도 많은 사람의 거울이 될.. 2022. 3. 8.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