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사성어

[역사] 경죽난서 [ 磬竹難書 ] - 고사성어

by 청호반 2022. 1. 4.
728x90

 " 죄가 하도 많아 일일이 다 적을 수 없음."을 뜻한다.

< 출전 > 구당서(舊唐書)  이밀전

중국에서는 종이가 발명되기 전인 한나라 때는 참대에 글을 썼다. 때문에 이 성구의 뜻은 죄가 하도 많기에 나라 안의 참대를 다 사용해도 이루 다 적을 수 없다는 뜻이다. 그런데 오랜 관례상 좋은 일에 대해서는 이 성구를 쓰지 않는다.

 요컨대, 수나라 말년 농민군의 우두머리 이밀은 수양제의 죄악을 성토하는 격문에서 " 그 죄악은 남산의 참대를 다 허비해도 기록할 수 없다 (磬南山之竹  書罪無窮 )"라고 하였다.

 

 그러나 경죽난서와 유사한 말은 이미 서한 한무제 때 나타났다. 당시 주제안이라는 협객이 승상 공손하의 모함으로 옥에 갇혔을 때 공손하의 죄악을 고발하면서,

 " 남산의 참대를 다 써도 내가 하고 싶은 말을 다 적을 수 없다 ( 南山之竹 不足受我詞 )"

 라고 말한 적이 있다.

 

 그리고 서한 말년 위효라는 사람이 왕망(王莽)을 성토하는 격문에서 또 이와 비슷한 말을 하였으며, 남조 양원제 때 하남왕 후경이 반란을 일으키자 양원제도 유사한 어구로 반란자를 성토하였다.

 이와 같이 경죽난서라는 성구는 만들어진 지 오랜데, 뒤에 이밀의 격문에서 이 성구의 제한된 함의가 진일보하여 확정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