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사성어

[역사] 과즉물탄개 [過則勿憚改] - 고사성어

by 청호반 2022. 2. 19.
728x90

( 허물 과 / 곧 즉, 법칙 칙 / 아닐 물 / 꺼릴 탄 / 고칠 개 )

" 허물(잘못)이 있으면 즉시 고치기를 꺼리지 말라"는 뜻으로,

잘못을 저질렀다고 후회만 하지 말고 그것을 빨리 바로 잡아야만 다시는 같은 잘못을 저지르지 않는다는 말이다.

< 출 전 > 논어 학이편(學而篇)과 자장편(子張篇)

논어 학이(學而) 편에,

" 군자는 신중하지 않으면 위엄이 없고 학문을 읽혀도 견고하지 못하다. 오직 충성과 믿음으로 중심을 삼되 자기만 못한 사람과는 사귀지 않으며, 허물이 있으면  이를 고치기를 주저하지 않는다. (君子不重則不威  學則不固  主忠臣  無友不如己者  過則勿憚改 )

 

 과실에 대한 이러한 자기반성은 유교에서 "천선(遷善), 진덕(進德)의 자기 수양으로 중시되어 왔다. 자기의 잘못을 잘 아는 것도 어려운 일이지만, 그것을 곧 깨닫고 고쳐 나가는 (改過)  과단과 솔직은 한층 더 어려운 일이다. 그러므로 공자는 허물 고치기를 꺼리지 말라고 곳곳에서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왕수인(王守仁) 같은 유학자는,

 '현자(賢者)라 하더라도 잘못이 없을 수 없지만, 그가 현자가 될 수 있는 까닭은 바로 능히 잘못을 고치는 데 있다'라고까지 개과를 강조하고 있다.

 

논어 자장(子張) 편에,

"군자의 허물은 마치 해와 달이 일식이나 월식을 일으키는 것과 같아서 누구나 다 보게 마련이다. 그러나 그것을 고친다면 사람들은 모두 그 용기를 우러러보기도 한다.  ( 君子之過也  女日月之食焉  人皆見之  更也  人皆仰之 )

 

 물론 이 말은 공자의 제자인 자공(子貢)이 한 말이지만, 바로 공자의 생각을 정리한 것으로 보아도 무방할 것이다. 이를 통해 공자는 진정한 군자는 허물이 없는 사람이 아니라 허물이 있으면 이를 즉시 고치는 용기를 가진 사람임을 천명하였다. 또 같은 편에는 '소인은 잘못을 저지르면 반드시 이를 변명하려고 한다. (小人之過也必文)는 말도 있다. 

 

 

댓글